top of page

기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 땅과의 관련성

이스라엘 아코에 있는 아셰르 회중 컬렉션


수십 년 동안 위협을 받아온 국가에 사는 이스라엘인들은 로켓 공격 가운데 무장 침략을 받고 있는 수백만 명의 우크라이나인들에게 큰 공감과 긍휼을 표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메시아닉 공동체의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 우크라이나에서 이스라엘로 알리야 하여 훨씬 더 깊은 개인적 고통 속에 현 상황 전개를 지켜보고 있습니다.


저는 너무 젊어서 모르지만, 세계는 우크라이나에서 이런 참상과 비슷한 장면을 이전에 본 적이 있습니다. 170년 전 우크라이나 남부에서 일어난 러시아 전쟁은 수십만 명의 목숨을 앗아갔습니다. 이번에는 유예 되기를 기도합시다. 주님의 뜻이 뭇 민족 가운데 이루어지기를, 겸손한 회개 속에 괴로워하는 무리들이 주님께로 크게 돌아오기를 기도합시다.


이전의 갈등


희한하게도 앞선 갈등은 성지 이스라엘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었습니다. 1853년, 러시아 제국과 오스만 제국 사이에 전쟁이 발발했습니다. 주요 격전지는 크림 반도의 오늘날의 남부 우크라이나였습니다. 전쟁을 일으킨 배경에는 이슬람인 오스만 술탄의 러시아 정복 항로에 대한 통제력 약화와 상반된 영토 요구 등이 있었습니다. 또 다른 직접적인 원인은 성지에 있는 기독교 유적지에 대한 통제권을 갖기 위한 다툼이었습니다. 무슬림 오스만인들은 성분묘 교회와 베들레헴의 정교회 신자들을 탄압했고, 이로 인해 카톨릭과 정교회 간의 갈등이 야기되었습니다.


러시아 황제(차르)는 정교회를 보호하기 위해 성지 분쟁에 관여할 권리를 요구했습니다. 그는 카톨릭이 프랑스와의 관계를 통해 받은 것처럼 정교회의 수장에 대한 서품권과 예수탄생교회의 열쇠를 정교회에 돌려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1856년, 파리에서는 러시아가 평화를 위한 소송을 제기하면서 소모적인 전쟁이 끝났습니다. 러시아는 베사라비아(오늘날의 몰도바)에 대한 해상 봉쇄를 풀기로 동의했고 정교회의 수호자가 되리라는 종교적 요구를 포기했습니다. [1877~1878년 사이에 러시아와 오스만 사이에 또 다른 전쟁이 일어났고, 그 후 오늘날까지 성분묘 교회의 현상 유지를 위한 합의가 이루어졌습니다.]


150년 이상을 건너 뛰어보면... 2014년, 푸틴 치하의 러시아는 바다를 통해 마찬가지로 크림 반도를 침략했고, 2022년 2월에는 푸틴이 러시아에 속한다고 주장하는 영토와 사람들을 다시 가져오려는 시도로 우크라이나를 공격했습니다.


이스라엘 커넥션


이 상황에서 이스라엘이 어디에 서 있는지 주목해야 합니다. 현 전쟁이 발발했을 때 이스라엘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공공연한 지지를 표명한 후, 유엔에 파견된 러시아 대표단은 이스라엘의 골란 계획을 비난하는 글을 게시했습니다. 러시아의 메시지는 이랬습니다:


"우리는 1949년 제네바 협약과 모순되는 골란 고원의 정착촌 활동을 확대하려는 이스라엘 정부의 계획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다. 러시아는 시리아의 일부인 골란고원에서 이스라엘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는다."


2021년 10월, 이스라엘은 골란 고원에 7,000채의 주택을 건설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은 안타깝게도 이스라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다음 사항에 주목하십시오:


1) 시리아에 러시아 군대가 주둔하고 있다.

2) 발표문에서 러시아는 예루살렘을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텔아비브를 인정했다.

3) 이스라엘 의회와 주요 정부 청사는 1951년 이후 99년간 임대된 정교회 소유의 땅 위에 지어졌다.

4) 성분묘 교회의 작은 문제 하나만으로도 매우 민감한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5) 러시아는 시리아, 이란과 강력한 협정 관계에 있다.

6) 러시아에 따르면 골란고원은 이스라엘의 것이 아니라 시리아에 속한다.


이 모든 것은 종말의 시나리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018년 9월, 시리아의 방어 미사일이 이스라엘 전투기를 조준한 뒤 군인들이 탑승한 러시아 군용기를 우발적으로 격추시키는 사건이 발생해 러시아군 사이에 많은 분노를 불러일으켰습니다. 다행히 푸틴과 네타냐후의 관계 덕분에 상황이 진정되었습니다.


이스라엘의 현 정부는 푸틴과의 관계가 좋지 않아 이란 및 다른 북방 강대국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러시아와의 긴장 상태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예레미야 1장의 "재앙이 북방에서 일어나 이 땅의 모든 주민들에게 부어지리라"는 말씀처럼 말입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