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유다의 사자

  • Writer: Asher Intrater
    Asher Intrater
  • Jul 20
  • 1 min read

티쿤 글로벌

이스라엘 예루살렘


ree

예슈아(예수님)는 유다 지파의 사자로 묘사됩니다. 사자의 이미지는 힘과 승리를 상징하며, 정복하는 왕으로서의 메시아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요한계시록 5:5- 유대 지파의 사자 다윗의 뿌리가 이겼으니 그 두루마리와 그 일곱 인을 떼시리라 하더라


사자의 이미지는 또한 예슈아를 유다와 다윗의 혈통과 연결시켜 줍니다. 다윗은 승리하는 정복 왕의 전형적인 예입니다. 예슈아는 다윗의 후손이었고, 다윗은 유다의 후손이었습니다. 예슈아는 하나님께서 유다와 다윗과 맺으신 언약을 통해 지상에서 왕의 권위를 지닙니다.


요한계시록에서 메시아를 유다의 사자로 묘사한 것은 창세기에 나오는 유다의 축복을 가리킵니다.


창세기 49:9-10- 유다는 사자 새끼로다 내 아들아 너는 움킨 것을 찢고 올라갔도다 그가 엎드리고 웅크림이 수사자 같고 암사자 같으니 누가 그를 범할 수 있으랴 규가 유다를 떠나지 아니하며 통치자의 지팡이가 그 발 사이에서 떠나지 아니하기를 실로가 오시기까지 이르리니 그에게 모든 백성이 복종하리로다


유다에서 정복하는 왕으로 오시는 메시아의 모습은 성경의 첫 번째 책과 마지막 책에 예언되어 있습니다. 이는 처음부터 끝까지 이어지는 주제입니다. 유대인의 “사자 왕”이라는 주제는 성경 전체의 서사에 일관성을 부여합니다.


10절에서 “복종(순종)”을 뜻하는 단어 코핱(קהת)으로, 레위의 아들이자 모세의 할아버지인 고핫의 이름과 같은 어근에서 유래했습니다. 따라서 제사장 가문의 이름조차도 이 땅의 민족을 다스리는 메시아 왕을 떠올리게 합니다.


“모든 백성의 순종”은 모든 민족을 믿음에 순종하게”(롬 1:5; 15:18) 이끌 복음의 미래적 확산을 예언적으로 암시합니다. 창세기에서 유다에게 주어진 축복에 “모든 백성”이 하나님과 그의 왕에게 순종하는 모습이 언급되어 있다는 사실은 하나님의 예정된 계획에 대한 놀라운 증거입니다.


예슈아께서는 동시에, 포효하는 사자로 묘사될 뿐만 아니라, 도살되기 위해 끌려가는 어린양으로 묘사됩니다(계 5:6). 고난받는 종이자 정복자이신 메시아에 대한 이러한 이중적인 묘사는 성경 전체에 걸쳐 반복됩니다. 예슈아는 하나님의 아들이자 다윗의 후손입니다(롬 1:3-4). 그분은 이스라엘의 왕이시며 교회의 머리이십니다(요 12:13; 엡 1:23).


bottom of page